Episodes
과학하고 앉아있네 S08E07 JWST 이미지, 이렇게 만들어진다!
-오프닝
· 화성에서 발견된 스파게티
· 지구 온난화 막는 우주 양산 아이디어
-천문학 뉴스
· 휴면 블랙홀 첫 발견
· 블랙홀은 초신성 폭발로 생기지 않는다
-JWST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
· JWST의 카메라와 필터들
· 이미지 합성 방법
· JWST의 첫 공개 이미지 SMACS0723
· 중력렌즈와 분광 관측
· 인류가 발견한 가장 먼 은하 : GLASS-z13
· JWST가 찍은 목성
PPT 자료 >>
https://www.slideshare.net/sciencepeople/jwst-01pdf
Published 08/05/22
과학하고 앉아있네 S8E06 사랑의 물리학 part2 & 'RRR'과 '바후발리'를 보다!
– 오프닝
· 한국의 코로나 상황과 영국의 이상 고온
– 물리학자들
· 'RRR'과 '바후발리'에 담긴 물리학
· 사랑의 물리학 part2 : 그 비선형스러움에 관하여
오정근 박사님 자료
https://www.slideshare.net/sciencepeople/7-rrrpptx
김현철 교수님 자료
https://www.slideshare.net/sciencepeople/7-2pptx-252330432
Published 07/29/22
격동 500년 S08E06 새로운 우주 시대를 열다. 일론 머스크
1. 어린 시절
- 부모님과 가정 환경
- 남아공 학창시절 분위기
-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취미를 가졌던 시기
2. 미국-캐나다 이주
- 캐나다 이주와 대학 입학
- 학사 학위
- 대학원 입학
3. 스타트업 신화
- ZIP2 창업
- ZIP2의 성공
- PayPal의 대성공
4. 스페이스X와 테슬라
- 스페이스X의 창업
- 스페이스X의 실패와 성공
- 테슬라 창업
Published 07/22/22
과학하고 앉아있네 S08E06 누리호 발사 성공 특집!
-오프닝
· 허준이 교수, 한국계 수학자 최초 필즈상 수상
· 저궤도 위성 9대 발사 성공한 중국의 지리자동차
-천문학 뉴스
· 사건의지평선망원경 협력단, 아인슈타인 메달 수상
· NASA 독자적으로 UAP 연구 시작
-누리호 이야기 feat. 민태기 박사
· 1차 발사 때 아찔했던 순간
· 뉴턴의 자유낙하에 의한 궤도운동
· 최초로 소닉붐을 찍은 마하
· 터보펌프는 왜 중요한가
· 스푸트니크 쇼크와 미국의 우주 개발
· 스페이스X의 랩터 엔진과 재활용 로켓
· 우리나라 우주 산업의 미래
https://www.slideshare.net/sciencepeople/pptx-252177434
Published 07/15/22
과학하고 앉아있네 특별편! 2022 최신 공룡 지식 업데이트
· 티라노사우루스의 최근 밝혀진 모습
· 기낭이 있는 공룡들
· 공룡은 수영을 할 수 있었을까
· 공룡 깃털의 용도
· 데이노케이루스의 복원도가 나오기까지
· 트리케라톱스의 성장과정
· 테리지노사우루스류의 발자국 화석
· 공룡 알 화석으로 알 수 있는 것들
PPT자료 >>
https://www.slideshare.net/sciencepeople/pptx-252145856
Published 07/08/22
-오프닝
· 하야부사2가 가져온 소행성 토양에서 아미노산 발견
· 구글 챗봇이 의식을 가졌다?
-뉴스
· 핵융합과 삼중수소 문제
· 티백에서 수백 종의 곤충 DNA 발견
· 3000억 년에 1초 오차! 광격자 시계
Published 07/01/22
- 오프닝
·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 보이저호 2030년 미션 종료
- 물리학자들
· 비행기가 뜨는 이유
· 중력을 이기는 법
Published 06/24/22
1. 출생과 학창시절
- 출생과 어린시절
- 학창시절 쉽지 않았던 대학 입학까지의 과정
- 대학 시절과 결혼
2. 미국에서의 생활
- 미국 이주
- 콜럼비아 대학교 시절
- 맨하탄 계획과 시카고 대학교 시절
3. 원자핵 연구와 노벨상 수상
- 텔러, 페르미와의 관계
- 원자핵 껍질 모델의 의미와 완성
- 노벨상 수상
* 소설 같은 순간
Published 06/17/22
-오프닝
· 미국 의회에서 열린 UFO 청문회
-천문학 뉴스
· JWST, 외계 행성의 지질학 연구 계획 발표
· 과거 은하일수록 더 무거운 별이 많다
-뉴턴의 발가락
· 김재영 교수의 블랙홀 촬영 참여 계기
· 블랙홀 이미지를 얻기까지의 과정
· 블랙홀 신호를 판별하는 방법
·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관측이 어려운 이유
· 앞으로의 계획
Published 06/10/22
-오프닝
· 달에서 가져온 흙에서도 식물이 자랄까?
-뉴스
· 곽재식 작가 : 로켓이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
· 이용 기자 : 플로피 디스켓의 역사
· 안주현 선생 : 백설공주는 알레르기가 있었다?
Published 06/03/22
-물리학자들
· 블랙홀이 만드는 소리는?
· 소리의 블랙홀을 이용하여 소리를 가두는 방법
· 파동과 소리
-노벨상의 창고 중성미자 이야기
· 폰테코르보, 중성미자 검출 실험 구상
· 중성미자를 최초로 관찰한 라이네스와 코완
· 존 바콜, 태양에서 생성되는 중성미자 개수 예측
· 중수 검출기로 태양 중성미자 의문 해결
· 아직도 풀리지 않은 중성미자의 미스터리
Published 05/27/22
과학자 이야기 시리즈 과학의 사람들, 격동 500년!
최팀장의 진행과 과학자 출신 곽재식 작가, 그리고 이용 기자가 함께 합니다.
1. 출생 환경
· 이름 풀이
· 폴란드와 튜턴 기사단
· 후견인 외삼촌
2. 대학 시절
· 크라쿠프 대학 입학
· 고대 그리스 천문학에 대한 관심
·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에서 교회법 전공
· 파도바 대학에서 의학 공부
·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3. 집필 활동
· 시모카타의 시집 번역
· 코멘타리올루스
·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4. 그외의 활동
· 경제학적인 활동
· 달력 개정 작업
· 알렌슈타인 포위전을 승리로 이끌다
*소설 같은 순간
Published 05/20/22
- 오프닝
· 대체추진공학회의(APEC)
· 아포피스 탐사, 예비 타상성 본 조사 대상에서 제외
· JWST 거울 정렬 후 시운전 돌입
- 뉴턴의 발가락
· 부산에서 국제천문연맹총회 개최
· 국제천문연맹총회 행사 개요
· 국제천문연맹총회는 어떤 모임인가?
·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된 과정
· 국제천문연맹총회의 의미
Published 05/13/22
-오프닝
· 간헐적 단식, 진짜 살이 빠질까?
-뉴스
· 안주현 선생 : 꽃잎 모양을 결정짓는 요인은?
· 곽재식 작가 : 꿀벌 실종 사건의 원인과 우리나라의 양봉 업계 상황
· 이용 기자 : 우크라이나가 사용하고 있는 무기들
Published 05/06/22
-물리학자들
· 길이의 정밀 측정
· 사랑의 물리학
· 별들의 삼각관계
-유체 과학사
· 영국의 대중과학 발전
· 마그누스 효과
· 켈빈의 업적 (켈빈 앵글 발견, 해저케이블 완성)
· Revolution to Evolution
· 카르만 소용돌이
Published 04/22/22
과학자 이야기 시리즈 과학의 사람들, 격동 500년!
최팀장의 진행과 과학자 출신 곽재식 작가, 그리고 이용 기자가 함께 합니다.
오프닝
· 최 팀장의 코카콜라 Stardust맛 시음기
1. 어린 시절
· 하와이로 이주
· 적응이 힘들었던 초등학생 시절
· 친구 리사와의 만남
· 을 읽고 유전자에 관심을 갖다
2. 대학 시절
· 포모나 대학 화학과 입학
· 샤론 파나셍코 교수의 연구에 도움을 주다
· 하버드대 대학원 시절
3. DNA와 RNA
· DNA와 단백질, 무엇이 먼저 탄생했을까
· 제임스 왓슨과의 만남
· RNA 결정 만들기
· RNA의 최고 연구자가 되다
4. 노벨상을 타기까지
· UC 버클리에 자리잡다
· 크리스퍼 연구자 질리언 밴필드와의 만남
· 귀인 비덴헤프트와 이네크
· 힐린스키, 이네크, 샤르팡티에와 함께 논문 발표
· 노벨 화학상 수상
*소설 같은 순간
Published 04/15/22
-오프닝
·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성공
-K 박사의 천문학 뉴스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암흑물질 연구에도 사용된다
-뉴튼의 발가락
· 망원경 관측준비
· 정확한 천체 사진을 얻는 방법
· 관측 방해요소
Published 04/08/22
- 뉴스
· 최 팀장 : 코로나19에 감염 안 되는 '슈퍼 면역보유자' 있다
· 용 기자 : 삼성 GOS 논란, 진짜 원인은 무엇일까
· 안 선생 : 혈관이 발달한 곳은 살 안 찐다
· 곽 작가 : 성층권에서 한 달 떠 있는 태양광 드론 개발
Published 04/01/22
-오프닝
· 선거 후의 고통에 대처하는 방법
-물리학 뉴스
· 암흑에너지는 허상일까?
· 과학적으로 가장 정확한 시계 만들기
-유체 과학사
·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 지식 교류의 장이 된 런던 커피하우스
· 데카르트의 보텍스(소용돌이) 이론과 뉴턴의 중력 법칙
· 루나 소사이어티
· 다니엘 베르누이의 유체 연구
· 에콜 폴리테크니크 설립
Published 03/25/22
과학자 이야기 시리즈 과학의 사람들, 격동 500년!
최팀장의 진행과 과학자 출신 곽재식 작가, 그리고 이용 기자가 함께 합니다.
1. 어린 시절
-과학과 가까웠던 집안 분위기
-영어와 문학에 심취
2. 대학 시절
-전기에 대한 박사 논문 집필
-방사능 연구
-제1차세계대전 참전
3. 슈뢰딩거 방정식
-슈뢰딩거 방정식 완성
-파동의 정체
-닐스 보어와의 만남
4. 나치 탄압으로 인한 해외 생활
-옥스퍼드에서의 생활
-오스트리아 그랏츠 대학
-안실로스 사건으로 아일랜드에 이주
5. 중년 이후의 연구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쇼펜하우어 철학에 심취
-미완성된 일반통일이론
*소설 같은 순간
Published 03/18/22
-오프닝
· 화성에서 발견된 하이힐?
· ISS, 바다에 버려진다
·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과학하고 앉아있네
· 빠른 전파 폭발(FRB, Fast Radio Bursts)의 정체는?
· 100억년에 우리은하의 중력에 합쳐진 은하의 흔적 발견
· 관측이란 무엇인가?
·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관측 방법
· 망원경 관측 시간을 확보하는 방법
Published 03/11/22
과학과사람들 뉴스룸 S08E02 다리 재생 개구리, 큐어넌 'Q'의 정체, 거부들이 투자한 바이오 연구소, 단백질 구조 연주
뉴스
안 선생 : 절단된 개구리 다리의 재생 실험
용 기자 : 큐어넌의 배후 Q의 정체, 인공지능이 밝히다
최 팀장 : 베조스, 유리 밀너 등 거부들이 투자한 바이오 연구소
곽 작가 : 코로나19 백신을 음악으로 연주하다
Published 03/04/22
과학하고 앉아있네 S08E01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 김현철 교수와 오정근 박사의 연구 이야기
-오프닝
· 얼음은 왜 미끄러울까?
· 쇼트트랙에서 벌칙을 막을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
· 외톨이 블랙홀을 처음으로 확인하다
-뉴튼의 발가락
· 오정근 박사의 연구 분야 : 중력파
· 김현철 교수의 연구 분야 : 강력과 펜타쿼크
Published 02/25/22
과학자 이야기 시리즈 과학의 사람들, 격동 500년!
최팀장의 진행과 과학자 출신 곽재식 작가, 그리고 이용 기자가 함께 합니다.
1. 유복한 어린 시절
- 귀족 집안의 자제
- 어릴 때부터 접한 살롱 문화
- 도박에 빠졌던 시절
- 다양한 분야에서의 재능
2. 결혼 후 생활
- 샤틀레 후작과의 결혼
- 볼테르와의 만남
- 볼테르에 대한 전폭적 지지
3. 에밀리 뒤 샤틀레의 업적
- 아들의 위한 집필
- 뉴턴의 해설
- 볼테르 공동 집필
*소설같은 순간
Published 02/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