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Published 08/16/15
건축하지 말라고도 하지 마세요 각자 하기 나름이라 자위하지도 마시구요
Published 07/02/15
건축가들이라면, 건축학과 학생이라면 수도 없이 던졌을 질문, 바로, ‘우리에게 집이란 무엇인가?’이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집의 가치는 우리가 체감하는 것과는 너무 다르지 않나? 우리는 어떤 거주 경험을 하고 있고, 그것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시건방 12화를 통해 이른 바 ‘부동산 공화국’에 대해 생각해보자.
Published 06/03/15
국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영화 어벤져스! 5월 12일 현재 누적 관객수는 950만에 이르고 있다. 마포대교, 상암 디지털 미디어 시티, 문래동 철강단지, 반포 세빛섬, 강남대로. 헐리웃 영화 속에서 서울을 발견한 소감은 어떠신지? 영화를 통해 과연 대외 이미지와 경제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시건방 10화, 어벤져스 속 한국에 대해 냉정하게 돌아보자.
Published 05/14/15
35년의 일제강점기를 겪은 이후, 서울을 비롯한 한국 도시 곳곳에는 일본식 도시계획과 건축물들이 산재하고 있다. 그러나 친일파를 척결하듯 일본식 건물도 부숴없애야하나? 아니면 치열한 삶의 흔적으로 보고 보존의 대상으로 삼아야하나? 시건방 9화, 도시와 건축에 일제가 남긴 흔적들은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남아있고,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 그리고 ‘세련된 보존’은 무엇인지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토론해보자.
Published 05/05/15
대한민국 대표 꽃길, 윤중로. 매해 봄이 되면 여의도와 윤중로는 벚꽃축제의 핫한 연관검색어로 등장한다! 1968년, 모래톱이었던 여의도가 신시가지로써 개발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기 까지, 누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을 했나. 여의도, 벚꽃은 다 졌으니, 이제 도시를 느끼러 다시 가보자.
Published 04/28/15
문화재청에서 올해부터 서울 종로구 사직단 복원사업을 시작했다. 사직단은 무엇인가, 복원은 왜 필요하며, 누구를 위한 복원이어야 하나. 사직단의 가치와, 논란의 중심, 그리고 맥락에 대해 생각해보자.
Published 04/21/15
◇◆◇ 제 3, 4공화국은 서울의 가장 큰 물리적 변화를 만들어냈으며 가장 첨예한 정치적 대립의 시기였다. ◇◆◇ 옳고 그름을 떠나 우리가 그 시대의 유산 위에서 오늘을 살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최근 서울시에서 그 시기의 상징으로 불리는 세운상가 활성화를 위한 공모전을 개최했다.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 +++세운 상가 어디까지 가봤니..?+++
Published 04/14/15
변명부터 하는 남자 분위기 파악 못하는 남자 목소리 뒤집히며 모난소리 하는 남자 그리고, 싸움 부추기는 여자의 환상의 아카펠라!! [5화 특별편! 방송갈피]
Published 04/07/15
◇◆◇ 국내 초고층 경쟁이 재점화되며, 서울에 100층이 넘는 초고층 건물이 두 개가 생긴다! ◇◆◇ 그러나 제2롯데타워의 안전성 문제가 계속 거론되면서 초고층 빌딩 경쟁은 불안한 이슈가 되었다. 초고층이 정말 경쟁꺼리이긴 한가? 도시에서의 초고층화 전략을 어떻게 볼 것인지 이해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 +++초고층 빌딩 건설, 어떻게 볼 것인가!+++
Published 03/31/15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개관 1주년! ◇◆◇ 논란은 한차례 사그라들고, 작년 한해, 680만명의 방문객 수를 기록하며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어영부영 ‘좋은 게 좋은거지.’라는 식의 구렁이 담넘기에 신물난다! 디디피 이전과 이후, 얼마만큼 생산적인 논의와 담론이 오갔는가!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 +++ 뜨거웠던 디디피 탄생, 1년 생일빵!! +++
Published 03/23/15
◇◆◇ 마을은 뜨는데, 주민은 떠난다? ◇◆◇ 젠트리피케이션은 세계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이미 우리 도시를 변화시키는 근본 이념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에 대한 맹신, 투기자본의 무제한적 자유 보장은 우리 도시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나? 과연 21세기 도시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이것 뿐인가!!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어떻게 봐야 하나?+++
Published 03/16/15
◇◆◇ 셰어하우스, 우버 등 공유경제 화두로 떠올라 ◇◆◇ 카셰어링, 에어비엔비는 이미 오래전 얘기. 좀 더 실질적인 공간과 삶의 공유가 시작됐다?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 +++건축 화두 된 공유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
Published 03/10/15
마지막의 마지막화!!!!! 듣는건축에서는 작가 유진의 깜짝 전화 어택이 감성을 자극하구요. 말하는건축에서는 오감을 넘어, 3차원을 넘어 우리가 공간을 지각하는 방식에 대해, 그리고, 오감을 활용한 공간마케팅, 도시마케팅에 대해, 폭풍폭풍 수다를 합니다. 뒤로 갈수록 꿀잼
Published 0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