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조선 후기 농촌 현실의 축소판, 흥부전
Published 08/01/12
1. 임진왜란 속 전쟁 영웅들의 무용담, 소설 임진왜란의 전쟁 과정과 그 당시 전쟁 영웅들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쓴 소설 . 소설 속에는 최일령, 정출남 등과 같은 가공인물이 있는가하면 이순신 장군, 논개, 의병장 김덕령, 명나라 장수인 이여송 등 임진왜란 때 활약했던 실존 인물들도 등장한다. 은 소설답게 허구적인 이야기도 있지만, 1604년 일본에 건너가 전쟁 때 끌려갔던 조선인 포로를 구출하여 돌아온 사명대사나, 이몽학이 주도한 반란에 가담했다는 죄로 고발당해 세상을 떠난 의병장 김덕령의 이야기는 사실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은 임진왜란을 조선이 완전한 압승으로 구성했는데, 이는 그 당시 전란에 대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컸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2.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고 민족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창작된 소설 삼전도에서 청나라에게 굴욕적인 항복으로 끝맺은 전쟁, 병자호란(1636년~1637년)을 배경으로 한 소설 은 전생의 업보로 추녀가 된 주인공 박씨가...
Published 08/01/12
1. 조선 시대에 금서로 지정된 설공찬전 은 조선 중종 무렵 채수(1449~1515)라는 사람이 쓴 소설로, 귀신 ‘설공찬’이 이승에 머물면서 저승에서 들은 일을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은 당시 인기를 끌었던 소설이지만 금서로 지정되어 곧바로 불살라졌다고 한다. 의 금서지정은 성리학 보급에 전념해야 할 지도층 인물이 불교에 심취해 사회 윤리에 소홀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특히 귀신 이야기를 통해 시국을 비판한 내용이 더 큰 문제가 되었는데, ‘임금이라도 주전충 같은 사람이면 다 지옥에 떨어진다’는 대목이 그것이다. 또한 저자 채수는 을 통해 국왕 중심의 현실정치, 나아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비판하기도 했다. 2. 조선 시대 실화를 바탕으로 계모와 전처 자식 간의 갈등을 그린 장화홍련전 은 계모와 전처 자식 간의 갈등을 그린 소설로, 철산 부사였던 전동흘이 실재로 겪은 일을 쓴 을 윤색하여 소설화 한 점이 특징. 그만큼 계모와 전처 자식 간의 갈등은 조선시대에도 흔한...
Published 08/01/12
1. 호부호형’하지 못했던 조선시대 서얼들의 신분제 저항 소설, 홍길동전 16세기 이후 명분과 신분차별을 강화하는 성리학 이념이 강하게 정착되면서, 서얼들은 과거응시의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 가족 내에서의 차별을 넘어 사회적으로도 큰 제약을 받았던 것이다. 이런 시기에 만들어진 허균의 홍길동전은 서얼들의 한을 대변하면서, 현실의 처지를 벗어나기 위해 도적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을 잘 보여준 소설 2. 난세가 탄생시킨 소설 속의 영웅, 전우치 개성에 살았던 실존 인물 전우치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다. 소설 의 배경이 되는 16세기 조선은 내적으로는 정치적으로 혼란했고 외적으로는 왜구의 침입이 많았던 위기의 시기였다. 지배질서에 저항하는 영웅을 바랬던 이 시기에 전우치는 하늘의 관리로 변신해 국왕 앞에 나타나 황금 들보를 바치도록 하고,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누어줌으로써 억눌리고 소외받는 가난한 백성들의 희망이 되었던 것. 또한 실존 인물인 전우치가 살았던 16세기에는 어느 때...
Published 08/01/12
1. 시대를 향한 울분, 꿈으로 풀어내다. 금오신화 는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지식인 김시습(1435~1493)이 쓴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이다. 는 현재 5편의 소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 , , , 등이 그것이다. 이 소설들은 남원, 경주, 개성, 평양에 사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산천과 명승고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현실과 환상의 세계를 드나들면서도 김시습 자신의 이상을 소설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주인공 ‘양생’이 죽은 여자와의 인연 때문에 장가를 들지 않았다는 는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키고 끝까지 은둔한 김시습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 그것. 어린 시절, 신동으로 소문 나 국왕인 세종에게 칭찬을 받고 비단을 하사받을 만큼 뛰어났던 김시습. 하지만 1455년 세조의 왕위 찬탈로 전국을 방랑하며 현실을 등진 삶을 살면서 그의 이상을 꿈으로 풀어낸 금오신화. 2. 김만중, 숙종 정국을 풍자하다. 사씨남정기 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Published 08/01/12
1. 대표적인 고전 소설 . 하지만 은 역사적 사실과는 다른 허구적인 부분이 많다. 이몽룡이 춘향과 로맨스를 즐기면서도 1년 만에 장원급제 한 대목이 바로 그것. 이몽룡이 '천재'라 해도, 3년에 한 번 전국에서 33명만 뽑는 과거시험에서 단번에 수석을 차지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게다가 그 해 장원급제 한 신참이 바로 나갈 수 있는 직책이 아님에도 이도령이 바로 암행어사로 나간 것. 또한 조선시대에는 상피제가 엄격히 적용되어 자신의 출신지에 암행어사로 파견될 수가 없었으나 이도령이 남원으로 파견된 사례는 허구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2. 조선 시대 ‘효’ 문화의 절정을 보여준다 철저한 유교사회인 조선에서 가장 중요시되던 것은 ‘충’과 ‘효’였다. 유교의 오륜에 군신유의(君臣有義)와 부자유친(父子有親)의 강령이 들어간 것이 대표적. 또한 충신과 효자에 대해서는 나라에서 대대적으로 표창했다. 정부의 이런 정책 때문인지 조선 시대에는 많은 효녀, 효자들이 배출된 시대상을 반영한...
Published 0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