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60년대 하반기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영화: 1966년 12월 명보극장에서 개봉. 이만희 연출, 신성일·문정숙 등 출연. 주제가: 1966년 황인자(?) 노래. 김지헌(?) 작사, 전정근 작곡. 1998년 영화음악작곡가협회에서 제작한 CD에만 수록 영화: 1967년 10월 아카데미극장에서 개봉. 김수용 연출, 신성일·윤정희 등 출연. 원작은 1964년 10월 잡지 에 발표된 김승옥의 소설 주제가: 1967년 정훈희 노래. 박현 작사, 이봉조 작곡. 정훈희 노래 몇 달 전에 가사가 다 붙지 않은 자니브라더즈의 노래로 먼저 발표 영화: 1967년 1월 국도극장에서 개봉. 현상열 연출, 김진규·남정임·김희갑 등 출연 주제가: 1967년 패티김 노래. 주동진 작사, 길옥윤 작곡 ‘총천연색 시네마스코프’, ‘사상 최초의 하와이 올 로케’ 작품. 주제가 작사자인 주동진은 영화...
Published 05/07/24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60년대 전반기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영화: 1964년 3월 명보극장에서 개봉. 신상옥 연출, 신영균·최은희·최무룡·남궁원·윤인자 등 출연. 원작은 1963년 10월부터 6주 동안 MBC 라디오에서 방송된 한운사 작 연속극 주제가: 1964년 자니브라더즈 노래. 한운사 작사, 황문평 작곡. 연속극 주제가는 같은 한운사·황문평 작품이기는 하지만 분위기가 전혀 다른 곡 영화: 1966년 7월 아세아극장·파고다극장에서 개봉. 정승문 연출, 김승호·남정임·태현실·이대엽 등 출연. 원작은 1964년 7월부터 한 달 동안 MBC 라디오에서 방송된 박홍근 작 연속극 주제가: 1966년 오기택 노래. 반야월 작사, 손목인 작곡 영화: 1964년 5월 을지극장에서 개봉. 강찬우 연출, 이민자·태현실·신영균·김희갑·황해·남일해 등 출연 주제가: 1964년 최숙자 노래. 조진구 작사, 손목인...
Published 04/30/24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50년대말~1960년대초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영화: 1958년 4월 국도극장에서 개봉한 . 한형모 연출, 김진규·조미령·장동휘·이대엽 등 출연. 원작은 1957년 4월부터 12월까지 잡지 에 연재된 박계주의 ‘영화소설’. 제목의 유래는 1955년 송민도의 노래 가사 첫 대목. 때문에 영화 제목도 ‘일명 나 하나의 사랑’ 주제가: 1958년 권혜경 노래. 손석우 작사·작곡. 원곡은 1955년에 발표된 송민도의 노래 대중가요가 소설로, 소설이 영화로, 영화가 또 다른 버전의 주제가로 연결된 ‘꼬꼬작’. 나름 ‘뮤지컬’을 지향했다고 하는데, 필름이 사라져 볼 수 없는 작품 영화: 1959년 2월 명보극장에서 개봉. 노필 연출, 최무룡·문정숙·엄앵란·김승호 등 출연. 원작은 1958년 9월 말부터 3주 동안 KBS 라디오에서 방송된 김석야 작 저녁 연속극 주제가: 1959년 최무룡...
Published 04/23/24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50년대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영화: 1955년 5월 시공관에서 개봉한 . 민경식 연출, 윤일봉·나애심 등 출연 주제가: 1955년 7월 백설희 노래. 손석우 작사, 박시춘 작곡 영화의 원래 제목은 . 같은 시기 가 만들어지고 있었으므로, 제목 표절(?)에 대한 소송까지 진행. 주제가 은 영화에서 나애심이 직접 노래 영화: 1957년 11월 중앙극장에서 개봉한 . 이선경 연출, 이예춘·김근자 등 출연 주제가: 1957년 방운아 노래. 반야월 작사, 박시춘 작곡 1940년대부터 이미 기획은 있었던 ‘가요 영화’가 실제 작품으로 나온 첫 번째 사례로 추정 영화: 1956년 11월 중앙극장에서 개봉. 이강천 연출, 나애심·장민호·주선태·황정순 등 출연. 주제가: 1956년 나애심 노래. 홍은원 작사, 김동진 작곡 이른바 ‘문예 영화’로 주목을 받았던 작품. . ‘노래하는 무비...
Published 04/16/24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40년대 이전 1부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1. 발성영화 시대의 히트 주제가들 영화: 1939년 3월 부민관에서 개봉한 . 이명우 연출, 황철·차홍녀·심영 등 출연. 원작은 1936년 7월 동양극장에서 상연된 임선규 작, 같은 배우들 출연 연극 주제가: 1939년 4월 김영춘 노래. 이고범 작사, 김준영 작곡 동양극장 ‘고등 신파’의 대표작이나 영화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주제가가 오히려 크게 히트한 작품. 주제가의 성공은 다시 악극으로 이어지기도 2. 친일영화 영화: 1941년 3월에서 성보극장에서 개봉. 전창근 연출, 진훈(강홍식)·심영·전옥·유계선·전택이 등 출연 주제가: 1941년 4월 백년설 노래. 김영수 작사, 이재호 작곡 1945년 이전 조선 영화계에서 보기 드문 대형 기획 영화. 필름이 사라져 아직 발굴되지 않았기에 작품 성격에 대한 논란이 여전. 주제가에...
Published 04/09/24
오늘의 이야기:영화 주제가로 본 대중가요의 역사_1940년대 이전 1부 초대손님:이영미(대중문화연구자) 이준희(옛가요 전문 연구자) 1. 한국영화의 시작 영화: 1925년 9월 단성사에서 개봉. 이구영·강홍식 연출. 주제가: 원곡은 1920년에 발표된 히로타 류타로(弘田龍太郎)의 동요 2. 영화 주제가로 대중가요사의 한 장을 연 , 등 영화: 1926년 10월 단성사에서 개봉. 나운규 연출, 나운규·신홍련(신일선)·남궁운(김태진)·주인규 등 출연 주제가: 1930년 2월 김연실(빅타), 채규엽(콜럼비아) 노래. 앞서 1929년 2월에 발매된 성동호의 영화설명 음반에서는 유경이 노래. 나운규 작사, 작곡자 미상 영화: 1927년 10월 단성사에서 개봉. 김영환 연출, 복혜숙·이원용 등 출연 주제가: 1929년 4월 이정숙 노래. 앞서 1929년 1월에 발매된 김영환·복혜숙의 영화극 음반에서는 유경이 노래. 김서정 작사·작곡 영화: 1928년 5월 단성사에서...
Published 04/02/24
오늘의 이야기:한국전쟁 민간인학살 유골 발굴 이야기 초대손님:고경태(저자, 한겨레 신문 기자) 김영환(대외협력실장) 2023년 3월, 충남 아산 성재산에서 정체불명의 유골이 무더기로 발굴됐다. 양손이 ‘삐삐선(군용 전화선)’으로 묶인 채 일렬로 엎어져 쓰러진 유골들. 그 앞으로 역시 양손이 결박된 한 유골이 쪼그려 앉아 있다, 마치 잠에 든 듯한 모양새로. 그에게 ‘A4-5’라는 식별번호가 겨우 붙여진다. 도대체 이들은 누구인가? 《본 헌터》는 뼈의 증언을 좇는 집념의 인류학자 선주와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이 70여 년 세월을 초월해 만나는 스펙터클한 ‘유골 추적기’이자 생생한 역사 논픽션이다. 이 책의 저자이자 한겨레에서 30여 년간 베테랑 기자로 일해온 고경태는 꾸준히 폭력과 억압의 흔적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전작에서 특히 베트남전쟁기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사건을 면밀히 다룬 저자는 이번엔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사건과 국가폭력 피해자의 상흔을 심도 있게 다룬다....
Published 03/26/24
오늘의 이야기:독재정권의 희생양, 재일 민주단체 한통련 이야기 초대손님:김종철(저자,전 한겨레 신문 기자) 김영환(대외협력실장) 김대중이 납치된 1973년에 결성되어 50년이 된 한통련 한통련은 어떻게 반국가단체가 되었나? 대한민국은 민주화가 되었지만 왜 이들을 여전히 불온시하고 기피의 대상으로 삼는가? 저자 김종철은 한통련은 “우리 사회에서 마지막 남은 소외당한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한겨레 시절부터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한통련과 관련된 인사들을 심층취재하고, 재판기록, 문헌기록, 언론보도 등을 수도 없이 뒤지며 방대한 자료를 수집한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반국가단체 만들기에 희생된 한통련의 50년을 기록했다. 5년에 걸친 저자의 취재는 탐사보도 그 이상의 것을 보여주며 은 독자들을 생생한 역사적 현장으로 빠져들게 한다
Published 03/19/24
오늘의 이야기:김남주 시인 서거 30주년 특집 초대손님:김형수(신동엽 문학관 관장,김남주 평전 저자) 임헌영(민족문제연구소 소장) 김남주(1945~1994) 전라남도 해남 출생. 1974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잿더미」 외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고, 1977년 황석영(黃晳暎) · 정광훈 · 홍영표 · 윤기현 등과 농민운동을 전개하였다. 1979년 남민전 사건으로 15년 형 선고를 받고 9년째 복역 중 1988년 12월 가석방으로 출옥하였다. 1991년 신동엽(申東曄) 창작기금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수감에 따른 후유증과 과로로 말미암아 건강이 악화되어 1994년 초 광화문 인근의 한 병원에 입원하였고, 결국 그해 2월 13일 췌장암을 이겨 내지 못하고 별세했다. 김형수_시인이며 소설가,평론가 현재는 신동엽문학관 관장으로 있다 시집 『가끔 이렇게 허깨비를 본다』,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1,2』,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Published 03/12/24
오늘의 이야기:김남주 시인 서거 30주년 특집 초대손님:김형수(신동엽 문학관 관장,김남주 평전 저자) 임헌영(민족문제연구소 소장) 김남주(1945~1994) 전라남도 해남 출생. 1974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잿더미」 외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고, 1977년 황석영(黃晳暎) · 정광훈 · 홍영표 · 윤기현 등과 농민운동을 전개하였다. 1979년 남민전 사건으로 15년 형 선고를 받고 9년째 복역 중 1988년 12월 가석방으로 출옥하였다. 1991년 신동엽(申東曄) 창작기금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수감에 따른 후유증과 과로로 말미암아 건강이 악화되어 1994년 초 광화문 인근의 한 병원에 입원하였고, 결국 그해 2월 13일 췌장암을 이겨 내지 못하고 별세했다. 김형수_시인이며 소설가,평론가 현재는 신동엽문학관 관장으로 있다 시집 『가끔 이렇게 허깨비를 본다』, 장편소설 『나의 트로트 시대』, 『조드-가난한 성자들 1,2』, 소설집 『이발소에 두고 온...
Published 03/05/24
오늘의 이야기:늦봄 문익환 30주기 '다시,생명과 평화' 초대손님:문영금(통일의 집 관장) 문영미(늦봄 문익환 기념사업회 이사_사무처장) 문익환 늦봄 문익환은 신.구교 공동 구약 번역 책임위원으로 성서를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번역하였고 그 과정에서 시인이 되었다. 전태일과 장준하의 죽음을 계기로 1976년 '3.1민주구국선언'을 작성하며 민주화 운동에 뛰어든다 1989년 3월 25일 평양을 방문해 '4.2남북공동성명'합의를 이끌어 냈고 이는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의 기초가 되었다 1989년 방북 때 남긴 "민주는 민중의 부활이요, 통일은 민족의 부활이다"라는 말은 남북 민중의 가슴을 울렸다 문익환 목사는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헌신하였으며, 특히 어려운 이웃들과 아픔을 함께 했다. 미움보다는 사랑,분열보다는 화해 원한보다는 믿음과 화합이 우리가 선택해야 할 길임을 보여준 평화의 사제였다 1994년 1월 18일 77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자택(통일의집)에서 숨을 거두었다.
Published 02/27/24
역발상 시즌3를 시작합니다. 첫 방송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실장들을 초대해 2024년 활동계획을 들어 보았습니다 출연:강동민(자료실장)김승은(학예실장)방학진(기획실장)심철기(연구실장)
Published 02/20/24
출연:이춘(작가) 고려대 재학 중 학생운동을 하다 구속되어 집시법과 국가보안법으로 2년 3개월 수감되었다. 구미에서 잠시 노동운동을 한 후 창원으로 왔다. 지금은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의 역 사탐방을 안내하고 역사 교육을 하고 있다. 경남 1세대 활동가들의 삶과 한국전쟁 전후 민 간인 희생자 유족 증언을 기록하는 작업에 참여했다 #책 소개_집필 계기와 과정 #김명시의 삶 -김명시의 가족 -항일투쟁 -해방 후의 활동 #김명시의 삶을 되살린 열린사회희망연대 여장군의 칭호를 가진 유일한 여성독립운동가. 조선의용군 총사령관인 무정장군 휘하에서 여성부대를 이끈 지휘관으로 일본군과 직접 총을 들고 싸운 항일무장 투쟁가 일제경성지방법원 검사부 사상국에서 작성한 비밀자료에 의하면 18세 김명시의 직업은 직공이었다. 생선행상의 딸로 태어나 노동자 출신의 독립운동가란 사실은 우리 속에 탄생한 독립영웅이란 뜻이다. 해방후 귀국 후에는 80만 맹원을 자랑하던...
Published 12/26/23
출연:최성환(목포대 사학과 교수) #섬에서 농민운동인 소작쟁의가 활발했던 배경 #단계로 구성된 암태도 소작쟁의 전개양상 #암태도 소작쟁의를 주도한 인물 #숨은 공로자 여성운동가 고백화 #암태도 소작쟁의의 성격 평가 암태도 소작쟁의(巖泰島小作爭議)는 1923년 12월 4일 암태소작인회(巖泰小作人會) 결성과 함께 소작료율를 4할로 인하할 것을 요구하며 일어난 농민운동을 말한다. 지주 문재철이 소작료 4할을 거부하며 시작되었고, 소작인회 측과 지주 측의 갈등을 물리적 충돌로 이어졌다. 그 결과 1924년 4월 중순 소작인회 간부 13명이 구속되었으며, 암태면민들은 두 차례 목포에서 석방투쟁을 이어갔다. 암태면민들의 치열한 투쟁과 전국적인 연대 속에 1924년 8월 30일 소작료 4할 합의를 이끌어냈다
Published 12/19/23
출연:김태권,굽시니스트 ▶김태권 만화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서양고전학 협동과정에서 그리스와 라틴 고전문학을 공부했다. 본업은 만화를 그리고 글을 쓰는 일이다. 지은 책으로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불편한 미술관』, 『르네상스 미술 이야기: 피렌체 편』, 『히틀러의 성공 시대』, 『살아생전 떠나는 지옥 관광』, 『코인묵시록』, 『에라스뮈스와 친구들』 등이 있다. ▶굽시니스트(김선웅) 만화가 한국외국어대학교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를 졸업했다. 굽시니스트라는 필명으로 2009년부터 《시사IN》에서 〈본격 시사인 만화〉를 연재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본격 한중일 세계사》 《박4모》 《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전 2권) 《이이제이의 만화 한국 현대사》 등이 있다. 최근작 : 『파시즘 vs 안티파』는 제목에서 보듯 파시즘과 안티파(안티파시스트)의 대결을 그렸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파시즘의...
Published 12/12/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8편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1972~. 서울 출생. 본명은 정현철 한국 대중음악 한 세기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인물 이전 가왕들과 비교하면 과연 가왕이라 부를 수 있을까 의문이 있기도 한, 문제적 가왕. : 전성기가 너무 짧다. 1992~1995의 4년뿐. 1. 시나위와 이태원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비주류 영역이었던 헤비메탈 그룹 시나위에 베이스 연주로 참여. 역시 비주류 영역이었던 이태원 클럽 씬(‘아이들’의 놀이터)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이 태동 2. 사상 초유의 화려한 등장: (서태지 사·곡, 1992년) 생경한 충격으로 첫 방송 이후 한 달 만에 대세로. 1992년이란 해에 주목할 필요. 대중예술사에서 1990년대의 시작은 1992년. 영화에서 프로듀서 주도의 제작과 로맨틱코미디의 시대가 열린 해(결혼이야기), TV드라마에서 16부작 미니시리즈의 트렌디드라마가 시작된...
Published 12/05/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7편 조용필 조용필 1950~. 화성 출생(청소년기에는 서울에서 성장) 경동고등학교 졸업 이후 기타 연주로 밴드 활동 시작. 이후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신작 활동을 멈추지 않고 있는 ‘진행형’ 가왕 세대와 장르를 넘나든 사실상 유일한 명실상부 ‘국민가수’ 1. 기지촌 밴드에서 출발, ‘조영필’로 음반 데뷔: (조용필 사·곡, 1972년) 파이브핑거스, 김트리오, 제3회 플레이보이컵쟁탈 보컬그룹경연대회와 첫 음반(1971년), 첫 독집 음반(1972년) 2. 청룡열차를 탄 1970년대: (황선우 사·곡. 두 가지 버전 이어 듣기) 예상치 못한 (1976년) 히트. 1977년 5월 대마초 문제로 활동 중단(군, 교포 대상 공연은 계속). 1978년 3월 해금(음반이나 방송은 계속 지장이 있었던 듯). 10·26 이후 완전 해금 : 긴 무명 시절을 끝내고 우연히(조총련계 재일교포...
Published 11/28/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6편 송창식 송창식 1947년~. 인천 출생 서울예고 중퇴 이후 말 그대로 풍찬노숙을 거쳐 쎄시봉 출연을 계기로 데뷔 70년대 전체를 관통한 유일한 스타 가수로 꼽을 수 있으며, 노래뿐만 아니라 연주와 작사, 작곡에서도 일가를 이룬 대중음악가 1. 이전 세대와 다른 정체성의 가수 등장: (조영호 사, Me T'aspro Mou Mantili, 1969년) 대학생인 듯 대학생 아닌 가수가 명문대생과 결성한 듀엣 트윈폴리오로 1968년 데뷔. 당초 쎄시봉 트리오를 기획했다가 트윈폴리오로. 포크라는 장르 이미지를 대표하는 가수이지만, 1970년대 한국 포크의 사회적 배경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개인적 배경. 그러나 서울예고 성악과 중퇴라는 배경은 범상치 않음. 2년이 안 되는 듀엣 활동 기간에 음반으로 발표한 곡 거의 전부가 외국 곡(번안 혹은 창작 가사) 2. 작사, 작곡, 연주까지 능란한...
Published 11/21/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5편 최희준 최희준 1936~2018년. 서울 출생 원래 본명이 최성준이지만, 개명해서 본명도 최희준으로 경복고, 서울대학교 법대 행정학과(55학번). 대학 재학 중 교내 축제에서 부른 노래로 주목을 받아 1959년 졸업 후 본격적인 가수 활동 시작. 미8군쇼에서 무대 활동을 하다가 1961년 비너스레코드에서 음반 데뷔 군복무로 인한 공백(1964년 2월 전역)이 있긴 했지만,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까지 톱 가수로 활약 1. 학사가수 대표주자: (손석우 사·곡, 1961년) 비너스레코드에서 데뷔한 학사가수의 아이콘, 최희준과 김상희 2. 미8군쇼: (손석우 사·곡, 1962년) 한국의 냇 킹 콜 3. 방송과 영화 주제가: (유호 사, 이봉조 곡, 1964년) 1960년대는 최희준의 시대인 동시에 라디오 드라마와 영화의 시대 4. 1960년대 유명 스탠더드팝 작곡가들과 모두 작업:...
Published 11/14/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4편 이미자 1941년~. 서울 출생 문성여고 재학 중 RCA텔레비전 (1958년 2월 26일 첫 방송) 출연 1959년 유니버살레코드에서 데뷔 1. ‘엘레지의 여왕’: (1967년) 1967년 개봉 이미자 전기(?) 영화의 제목이기도 196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 이미자의 위상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2. 데뷔곡 진위: (1959년) 이미자 본인이 말해 온 데뷔곡은 (1961년) 하지만 그에 앞서 1959년 유니버살레코드, 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이미 여러 곡을 발표 3. 의 의미: (1964년) 이미자 가수 이력의 전환점이 된 대표작이자, 한국 음반산업의 새로운 단계를 연 작품. 최초의 10만 음반 금지곡의 대명사이기도 하지만, 실상을 좀 따져 볼 필요도. 방송은 1966년부터 금지. 음반 유통까지 금지는 1975년. 1987년에 해금 노래 배경은 울릉도, 노래비는 해운대 4. 일본...
Published 11/07/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3편 현인 현인 1919~2002년. 부산 출생. 1938년 고등보통학교 졸업 이후 일본으로 유학. 도쿄음악학교(우에노음악학교) 중퇴로 알려져 있음. 1940년대 초 일본에서 먼저 무대 활동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국내 무대 데뷔는 1944년 성보악극단으로 추정. 1. ‘해방 가수’ 제1호?: (1949년) 중국에서 해방을 맞아 1946년 봄에 톈진에서 귀국선을 타고 돌아옴. 귀국 이후 다시 무대 활동 음반은 1949년 이 데뷔작 2. 전무후무한 데뷔 1년의 성과: (1949년) 대표작 절반 가까이를 1949~50년 럭키레코드에서 발매 작품 대부분을 유호, 박시춘과 함께 3. 영화와 인연: (1958년) 최초(?)의 음악영화 주연 , , 등에도 출연. 1950년대에 영화 주제가 음반을 가장 많이 발표한 가수 4. 가 현인 노래?: (1967년) 1950년 10월쯤 만들어졌을 것으로...
Published 10/31/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가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열전 2편 남인수 남인수 1918~1962년. 진주 출생. 1932년 보통학교 졸업 이후 데뷔 전 이력은 불분명하나, 일본에 일시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 1936년 으로 데뷔. 1. ‘만년 가수, 가요 황제’: (1938년) 1936년부터 1961년까지 25년 동안 350곡(추정치) 정도 발표 건강 문제 등으로 일시적 휴식은 있었지만, 활동 기간이나 인기와 히트 면에서 독보적인 존재 2. 출생의 비밀(?)과 분단의 가족사: (1948년) 호적에는 강문수, 원래는 최창수? 1948년 형 최창도의 월북, 북한에서 태어난 조카 최삼숙의 활동, 최삼숙 딸의 탈북 3. 돈인수, 여인수, 그리고 이난영: (1938년) 빈틈없고 깐깐했던 돈 관리에 비난과 함께 옹호도 데뷔 직후부터 끊이지 않았던 연애담. 1958년 이후 죽을 때까지 이난영과 사실상 부부. 그것이 마지막 스캔들 4. 일본진출설의 진위:...
Published 10/24/23
출연:이준희(옛가요 전문가) 이영미(대중문화 평론가) 오늘의 이야기:가왕 열전 1편 채규엽 채규엽 1906(?)~1949년(?). 함흥 출생 1926년쯤 일본으로 유학, 최종적으로 1933년 주오(中央)음악학교 졸업 성악가로 먼저 활동을 시작하다 1930년 유행가 가수로 데뷔 1. 첫 번째 ‘직업 가수’: (1930년) ‘유행가의 패왕’이라 불리며, 1930~43년 동안 150여 곡 발표 1935년 잡지 가수 인기투표 1위 선정 2. 이름 부자, 소속사 부자: (1939년) 채규엽, 채동원, 이명진, 하세가와 이치로, 사하쿠 슈지, 에하라 케이요 콜럼비아, 시에론, 오케, 태평, 포리돌 3. 일본 활동: (1932년) 콜럼비아, 다이헤이, 포리돌 등에서 12곡 발표 4. 좌파 성향과 금지곡: (1932년) 누구보다 많은 금지곡의 주인공(6곡) 1925년 ‘이혼’ 토론회에 연사로 참여, 1927년 프로예술 강연회에서 독창, ‘조선의 정치’로 웅변대회 참가했다가 구속,...
Published 10/17/23
100년 전 1923년 1월 '조선혁명선언'이 중국 상해에서 의열단 이름으로 나왔다 출연_김영범(대구대 명예교수) 오늘의 이야기 1.혁명적 폭력 사상의 전승 2.의열단의 혁명운동과 혁명당적 행보 3.민족혁명당의 조선혁명론 재정립 4.조선민족혁명단 혁명노선에서의 유의미한 변화들 5.조선혁명선언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의미
Published 1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