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흥행은 인간이 표현하는 예술을 대중오락으로 제공하는 상행위로, 공동체 놀이와 달리 돈을 받고 관객에게 연희와 오락을 제공한다.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공동체 성원이 즐기던 놀이는 점차 돈을 주고 보는 공연으로 흥행화했다.
Published 01/22/20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만화는 1909년 6월 2일 《대한민보》 창간호에 실린 이도영의 삽화다. 식민지로 전락하기 직전에 그려진 이도영의 만화는 신랄한 풍자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그림의 풍모를 보여주는데, 중국 만화의 영향을 받은 듯 말풍선이 열려 있다.
Published 01/08/20
1950년대 한 미군 병사가 기지촌의 상점 모습을 찍었다. 이 한 장의 사진 속에는 당대 사회와 문화를 들추어낼 실마리가 숨겨져 있다.
Published 01/01/20
1900년대 초반에 무선 라디오 수신은 수신기를 작동하고 전파를 잡아내는 전문적 기술이 필요한 일이었다. 책이나 신문을 보려면 문해력이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대중용 수신기가 보급되고 전국 라디오방송이 생기면서 라디오를 듣기 위한 기술의 문턱이 낮아진다.
Published 12/25/19
196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무허가 정착민의 주거문제가 불거진다. 김현옥 서울시장은 그 대책의 일환으로 시민 아파트 건설을 무리하게 추진했다. 그러나 와우 지구 시민아파트가 무너진 뒤 서울시의 아파트 건설 정책은 고급 아파트 보급으로 전환된다.
Published 12/18/19
1920년대 일본인에게 서양의 의식주 생활은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들에게 서양은 '모던'과 '문화'의 선구자였다. 세속화된 '문화'에 관한 이야기들은 동서양의 구별을 넘어 '범세계적 근대'라는 환상을 일반 대중에게 심어주었다.
Published 12/11/19
조선왕조의 수도 한양은 경성을 거쳐 서울이 되었다. 그 세월 동안 도시 공간에는 여러 겹의 역사가 쌓였다. 주권을 빼앗긴 식민지의 성곽은 왕조를 보호하는 기능을 더 이상 하지 못 했다. 도시는 도성을 넘어 확대되고, 주권을 잃은 도시는 새로운 권력의 눈으로 조감되었다.
Published 12/04/19
국어사전에서 하나같이 순화 대상 단어인 당꼬바지, 몸빼바지, 맥고모자, 중절모, 도리우찌 등 식민지 시대의 옷과 모자는 해방 이후 달라진 사회 환경에서도 적응해갔다.
Published 11/27/19
고무신에는 의외로 많은 역사와 기억이 담겨 있다. 어린 시절 친구의 검정 고무신부터 어머니의 버선발을 감쌌던 하얀 고무신, 딸아이가 설빔으로 신던 색동 고무신도 생각난다. 이러한 고무신은 우리의 전통 신발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다.
Published 11/20/19
서양식 복장은 보통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눈으로 직접 대하는 대표적인 근대의 상징이자 표식이었다. 원래 바다를 뜻하는 한자 '양(洋)'은 개항 후 19세기 말에 바다 건너 서구를 뜻하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기 시작했다.
Published 11/13/19
근대사회의 옷은 공장에서 대량생산되는 상품이다. 어떤 옷을 구매하는가는 우선 경제력에 달렸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착용하는 방식에서 개성을 드러내며 자신을 남과 차별화한다. 그래서 패션은 근대 개인주의의 이정표이기도 하다.
Published 11/06/19
식품업의 역사에도 번안이 깃들어 있다. 식민지 시대에 가내수공업이나 영세 공업에서 출발한 기업들은 1950년대 국가에 귀속되어 있던 일제의 생산수단을 헐값에 사들여 미국의 밀가루 원조와 군대라는 소비 시장을 통해 성장했다.
Published 10/30/19
아지노모토는 일본 근대 식품 산업의 발명품이 식민지에 이식된 대표적 사례다. 1908년에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가 글루탐산나트륨(MSG)을 인공적으로 농축하는 데 성공했다. 다음 해부터 아지노모토사는 조미료 제품을 만들어 시판하고 신문에 광고를 냈다.
Published 10/23/19
식민지 시대 조선에서 양식은 서양 요리가 아니라 일본이 번안한 서양절충 요리였다. 해방이 된 뒤에도 일본식 양식당의 메뉴는 양식이란 이름으로 고스란히 한국에서 전통을 이어갔다. 돈가스는 정체가 애매한 상태로 1960년대 경양식집 메뉴를 장식했다.
Published 10/16/19
1956년 5월 16일,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지 4년이 된 박정희가 존슨 미대통령이 보낸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존슨 정부는 박정희를 성대하게 대접하면서 한국 전투부대의 파월을 요청했다.
Published 10/09/19
2012년 11월 4일, 뤄양시의 한 농산물 시장 입구에 있던 승합차 한 대에서 달걀을 팔았습니다. 그 달걀은 다른 가게보다 한 근에 4마오 가량 쌌습니다. 싼 가격에 이끌려 달걀을 산 사람들은 집에 가서 요리를 하려다가 기겁을 했습니다. 가짜 달걀이었던 겁니다.
Published 10/02/19
홍콩 영화감독 왕자웨이의 대표작 중에 이란 작품이 있습니다. 영화에서 애인과 헤어진 사복형사 223호는 여자 친구가 좋아하던 파인애플 통조림을 사 모읍니다. 통조림 유통기한은 죄다 5월 1일입니다. 5월 1일은 여자 친구와 헤어진 지 한달째 되는 날입니다.
Published 09/28/19
19세기 일본의 과학기술은 국가사업으로서 '부국강병'이라는 군사 정책과 '식산흥업'이라는 산업 정책에 따라 결정되었다. 과학기술은 그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차원에서만 진흥되었다. 거기에 과학기술의 자율성이나 시민 참여의 공간은 존재하지 않았다.
Published 09/25/19
2011년 11월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갤럭시 노트' 신제품 발표회를 할 때의 일입니다. 당시 삼성전자 사장이 직접 무대에 나서서 신제품을 발표했습니다. 발표회가 끝난 뒤 중국에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거센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문제는 무대 배경에 그려진 지도였습니다.
Published 09/21/19
근대 일본 학문의 중심은 도쿄제국대학이었다. 이 대학의 모태는 막부 시대에 통역관과 번역관을 양성해 양서(洋書)를 번역하고 서양 정보를 수집하던 요가쿠쇼(洋學所)다. 미국의 페리가 내항한 1853년 이래 번역 작업이 늘자 막부 정부는 1855년에 요가쿠쇼를 만들었다.
Published 09/18/19
중국은 농민의 나라입니다. 농촌인구가 많아서 그렇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더 깊은 뜻이 있습니다. 중국 문명이 바로 농업 문명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Published 09/14/19
1890년에 천왕의 이름으로 발표된 교육칙어는 충효로 이루어진 일본식 근대 교육의 일그러진 봉건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본식 근대 교육은 1968년에 우리나라에서 국민교육헌장으로 번안되어 되살아난다.
Published 09/11/19
2013년 4월 15일, 세계 금시장에서 금값이 하루에 20퍼센트나 폭락하자 중국에서 금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일이 벌어집니다. 구매자는 중국 정부도 아니고 기관 투자자도 아니었습니다. 바로 '다마(大媽)'였습니다.
Published 09/07/19
번역은 원문에 대한 해석이자 세상을 보는 창이다. 1751년에 루터가 중세의 깊은 어둠을 뚫고 교회 권력에 아흔다섯 가지 의문을 제기하며 반기를 들었다. 루터는 그리스어 신약성경과 히브리어 구약성경을 저본으로 신약 독일어판과 신구약 완역판을 출판했다.
Published 09/04/19
1992년 무렵 중국에 간 한국 남자들은 중국에는 한국보다 세고 독한 세 가지가 있다는 농담을 하곤 했습니다. 이른바 '중국 삼독(三毒)론'입니다. 중국 술과 담배, 여성을 두고 한 말입니다.
Published 08/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