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s
Published 03/18/19
가수 정준영의 카톡 대화방에 등장하는 여성 연예인들이 이러쿵저러쿵 하다는 헛소문을 담은 '지라시'가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습니다. "전달만 하는 건데 뭐." 하고 유포하는 것도 죄가 됩니다. 의외로 강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Published 03/18/19
바깥에 미세먼지가 '나쁨'인 날이 늘면서 실내 공기도 점점 나빠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있어도 목이 칼칼하다는 분들도 적지 않은데, 이런 날 실내 공기의 질은 어느 정도일까요? 환기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Published 03/11/19
알바, 아무나 하는 것 같지만 아무나 못하는 일도 해 내는 것이 알바죠. '알바를 리스펙!' 이라는 광고도 인기입니다. 알바를 쓰는 사람이나 알바를 하는 사람 모두 알바를 존중해야 하지 않을까요.
Published 02/25/19
지난달 17일 대구에서 첫 번째 환자가 나온 이후, 21일 오전까지 집계된 홍역 확진자는 30명에 달하는데요. 이중 성인 감염자가 15명으로 확인된 만큼 영유아뿐만 아니라 성인도 홍역 백신접종에 신경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홍역 증상과 백신접종 기준까지 정리해봤습니다.
Published 01/22/19
미세먼지 속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게다가 임신부들은, 미세먼지가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지 몰라서 외출도 제대로 못하고 가슴을 졸이는데요. 아이들의 미세먼지 노출, 어느 정도까지 안전한 걸까요?
Published 01/21/19
지난해 11월, 필리핀의 환경단체 회원 수십 명이 한국에서 온 수천톤의 쓰레기로 인해 필리핀 남부의 민다나오섬이 몸살을 앓고 있다며 주필리핀 한국 대사관 앞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후 시위가 있은 지 약 2달 만에 한국산 쓰레기는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필리핀 민다나오섬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어떻게 우리나라에서 나온 쓰레기가 필리핀까지 가게 된 걸까요?
Published 01/14/19
한반도 겨울철 날씨를 가리키는 말로 '삼한사온'이 있지요? 요즘은 '온' 대신 미세먼지의 '미'자를 쓴다고 합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걸까요?
Published 11/28/18
사법 농단 사건이 ‘법관 탄핵’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법관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될 가능성을 짚어보고, 만약 탄핵이 추진된다면 그 대상은 누가 될지 정리해봤습니다.
Published 11/22/18
'인싸'라는 말 뜻도 아직 모르는 분들이 적지않을 텐데, 인싸'템' 마케팅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소소한 탕진잼의 일시적 유행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좀 생각해봐야 할 점이 적지 않습니다.
Published 10/31/18
응급헬기 문제에 대한 이국종 교수 인터뷰 (18일, 8시뉴스) 입니다.
Published 10/19/18
자전거 음주운전도 이제 처벌됩니다. 범칙금 3만원 딱지 대상입니다. 자전거 운전금지 조치를 경찰이 내릴 수도 있습니다. 당장 이번 주말부터 적용되니, 야외 나가시는 분들 참고하셔요!
Published 09/28/18
의료기기 영업사원이 의사 대신 수술을 집도하다 의료사고를 일으키거나, 수술실 안에서 환자를 성희롱하는 등의 일이 자꾸 벌어지자, "수술실 안에 CC-tv 설치하도록 의무화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단체는 "의료인 인권침해이고, 환자에게도 도움이 안되는 일"이라고 맞섭니다.
Published 09/15/18
인스타 페북 등 SNS에서 이런 상품추천 글 많이 보셨죠? 만일 업체로부터 돈을 받았는데 그 사실을 밝히지 않고 저런 글을 올린 건 아닌지, 공정거래위원회가 단속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Published 09/08/18
유료방송을 보기 위한 셋톱박스가 TV보다 최대 200배 이상 많은 대기전력을 쓴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전기요금도 그만큼 줄줄 샌다는 이야기입니다. 왜 그렇게 됐는지 알아보니 당국과 업계가 좋은게 좋은거라는 식으로 넘어가고 있었습니다.
Published 09/05/18
나 먼저 진료해 주지 않는다고, 나 비웃는 것 같다고, 원하는 주사 안 놔준다고... 응급실 의사를 폭행한 가해자들이 대는 이유는 가지가집니다. 자기들 화풀이의 결과로, 응급실을 찾는 다른 위급한 환자가 진료를 제대로 받지 못한다는 건 안중에도 없습니다.
Published 08/02/18
스타벅스가 2년 뒤엔 플라스틱 빨대를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과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을 돌고 돌아 사람의 건강에까지 나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Published 07/11/18
7월 최성수기에 밥 없이 비행을 하는 초유의 사태...그 이면엔 아시아나 항공 오너의 욕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Published 07/04/18
아스팔트 도로면이 냄비처럼 푹 꺼진 '포트홀'은 운전자들에겐 도로 위의 지뢰나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장마철에 자주 발생하는 포트홀, 발생 이유와 대처법을 알아봤습니다.
Published 07/03/18
멕시코에게 아까운 패배를 당한 축구 대표팀의 수비수 장현수 선수에 대한 인신비난성 청와대 청원이 도를 넘었습니다. 사실, 축구 뿐 아니라 사회적 관심사가 있을 때마다 청와대 청원 게시판은 '감정의 배설구'가 돼 버리곤 하죠. 개선 방법이 없을까요?
Published 06/26/18
생계를 위협할 정도로 많이 나온 병원비..7월부터는 나라에서 지원해 줍니다. 갚지 않아도 됩니다. 단, 저소득층이어야 하고 몇가지 단서조항이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봅니다.
Published 06/25/18
이제 오는 18일이면 한국 축구대표팀이 월드컵 무대에서 스웨덴과 맞붙습니다. 이날은 흰색 상하의 유니폼을 입습니다. 이건 어떻게 정하는 걸까요? 그리고, 이번 SBS 중계에 참여할 박지성 해설위원의 말도 들어봅니다.
Published 06/11/18
몰카 범죄가 늘면서, '몰카 찌르개'를 갖고 다니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는 여성도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자구책에만 맡길 일이 아니죠. '몰카 본 사람도 처벌' 등 처벌 강화 여론이 고 있습니다. 대통령도 수사기관의 인식 전환을 요구했습니다.
Published 05/31/18
여름철에나 보던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2박3일 가까이 내렸습니다. 5월인데 말이죠. 왜 그랬을까요?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까요?
Published 05/18/18
청소년은 중형을 저질렀어도 형을 가볍게 하는 소년법이 5월들어 다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소년법 재판을 가장 많이 했으며, 법정에서 엄한 호통을 치는 걸로 유명한 이른바 '호통판사'님의 생각은 어떨까요?
Published 05/15/18